본문 바로가기
돈버는 방법

20대 사회초년생이 부자되는 방법

by ◆§◑㉿ 2021. 8. 11.

'경제적 자유', '월 천만 원 벌기 가장 좋은 시대'라는 키워드가 요즘 핫하다. 20대 사회초년생이 월급만 가지고는 부자가 되기 힘들다. 아무리 아껴도 집 한 채 사기 힘든 것이 현실이다. 20대 사회초년생 때부터 돈에 대한 감각을 기른다면 30대가 되기 전 집을 살 수 있다. 또 빠른 은퇴 또한 가능하다. 여러 부자들이 쓴 책을 읽고 공통점과 가장 핵심이 되는 내용만 골랐다. 시리즈로 쓸 예정이니 다 읽고 링크를 타고 다음 편을 읽으면 된다.

 

두려움을 회피하지말고 이용해라.

대부분 두려움 때문에 안정적 직장, 공무원을 원한다. 또 원금손실이 나지 않는 저축을 한다. 부자들도 두려움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부자와 일반인들이 가장 큰 차이점은 두려움을 다루는 방법이 다르다는 것이다. 부자들은 두려우면서도 주식을 한다. 또 많은 대출을 끌어다가 집을 산다. 또 역설적이게 그들이 주식을 하고 대출을 받는 것이 두려워서 그렇다는 것이다. 부자는 원금이 없어지는 것이 두려운 것이 아니라 인플레이션보다 자신의 돈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을 두려워한다. 대체적으로 연간 인플레이션은 2퍼센트이다. 그렇다면 내 돈은 1년에 2퍼센트 이상 이자를 받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원금손실이 나지 않아도 내 돈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이다. 더 큰 두려움을 이용해 자신의 돈을 불리는데 적극적으로 투자한 것이다. 결국 리스크는 두려워서 돈을 쌓아만 놓을 때 가장 커진다.

 

돈을 많이 버는 것만이 부자가 되는 것이아니다.

김승호 회장이 말하길 부자가 되는데 4가지 능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돈을 버는 능력, 모으는 능력, 쓰는 능력, 굴리는 능력이다. 하지만 사람들이 돈을 많이 벌면 모든 일이 해결되리라 믿는다. 예를 들어 A는 월 200을 받고 B는 월 500을 받는다. A는 월 100만 원을 아끼고, B는 300만 원을 아낀다고 생각해보자. A는 투자에 적극적이다. 주식공부를 하고 각종 제태크 방법을 모두 공부해 돈을 굴릴줄 아는 능력을 이미 갖췄다. 하지만 B는 500만원에 만족해 굴릴 생각을 안한다. 오로지 300만원을 저축한다. 시간이 지나면 누가 부자가 될까? 내가 생각하기엔 100퍼센트 A가 부자가 된다. 월 200에서 100 모으기란 쉽지 않다. 반면 500에서 300 모으기는 쉽다. 돈을 굴리는 능력뿐만 아니라 모으는 능력 또한 A가 월등히 앞서는 것이다. 과거에 돈을 많이 벌었지만 결국 파산한 사람들을 많이 접할 수 있다. 복싱에서 유명한 마이크 타이슨 또한 현역에 벌었던 돈을 함부로 써 결국 파산했지 않았는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