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의 속성 저자이자 4000억 자산을 가지고 있는 김승호 회장이 목표가 있다면 100번씩 100일간 쓰면 이루어진다고 말했다. 동기부여가 필요한 많이 사람들이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막상 시작하려면 어려움을 겪는 사람이 많다. 구체적인 방법을 모르기 때문이다. 김승호 회장 또한 구체적인 방법을 알려주지 않았는데 그 구체성을 끌어당김의 법칙을 이용해 목표를 설정하고 100번씩 100일 쓰기를 쉽게 시작할 수 있다. 일단 이 글까지 찾아본 사람들은 모두 상위 10퍼센트 안에 드는 사람이다. 김승호 회장의 이야기를 듣고 90퍼센트 이상의 사람들은 안 할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이제 구체성을 더해 상위 1퍼센트로 가보자.
목표 설정
일단 다들 원하는 목표가 있으니 이 글을 볼 것 같다. 그 목표가 한 문장으로 쓰기에는 애매한 경우가 많다. 일단 사업가, 요리사, 작가 등 여러 목표가 직업으로 표현될 것이다. 여기에다가 '어떤'을 붙이자. 이 '어떤'이 구체적이어야 한다. 성공한 사업가보다는 연 매출 100억 사업가, 요리사보다는 미슐랭 셰프, 작가보다는 100만 부 판매 작가로 구체성을 더하자.
그리고 이 목표가 미래형 문장이 아니라 현재형 문장이어야 한다. 마치 내가 성공한 미래로 가서 경험하는 것처럼 생각하자. '연 매출 100억 사업가가 될 것이다.'가 아닌 '연 매출 100억 사업가이다.'로 바꾸자.
기한 설정
이 기한이 꼭 100일 후에 일어날 일이 아니어도 된다. 목표를 달성하는데 충분하다고 생각한 시간을 정하자. 그리고 100번씩 쓸 문장에 첨가하자. '나는 2030년 8월 연 매출 100억 사업가이다.'라고 기한을 정하자. 이러면 위 목표 설정에서 했던 미래형을 현재형으로 바꾼 것이 어색하지 않을 것이다. 이렇게 문장을 다 완성하면 이제 시작하면 된다.
Tip. 처음 시작하는 분들께,
위에서 만든 문장을 100번씩 쓰려면 30분 정도 걸린다. 이왕이면 아침에 하는 것이 가장 좋다. 확실히 의지가 필요한 일이다 보니 지속하려면 아침에 해야 한다. 아침에 할 수 없다면 어떤 장소에 도착하자마자 하자. 출근 후 바로 책상에서 한다던지, 퇴근 후 씻지 말고 바로 한다던지 이렇게 툴을 정해놓자. 또 횟수 체크하는 것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생각보다 100번을 쓰는 것이 힘든 일이기에 쓰다가 횟수를 잊어버릴 수 있다. 카운터 앱을 활용하자. 애플에서는 이지 카운터를 다운받아 사용하면 된다.
댓글